아이패드 배터리 성능 확인 방법은 약간의 꼼수를 써야 가능합니다. 아이폰처럼 배터리 효율이 어떤지 나오면 좋은데 무슨 이유에선지 아이패드에서는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. 그렇지만 다 방법이 있습니다. 따라만 하시면 됩니다.
아이패드 분석 공유 설정
아이패드에서 먼저 설정으로 들어가 줍니다.
![아이패드 설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을 눌러 분석 및 향상에 들어가는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1.webp)
아이패드 설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을 눌러 주시면 우측에 상세 메뉴들이 뜹니다.
분석 및 향상을 눌러 들어갑니다.
![아이패드 분석 데이터에 빨간 네모 친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2.webp)
분석 및 향상 메뉴에 들어왔으면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있는데 그건 바로 iPad 분석 공유가 켜져 있는지 유무입니다.
이 아이패드 분석 공유가 켜져 있지 않으면 아이패드 배터리 성능 확인 꼼수가 통하지 않습니다.
따라서 iPad 분석 공유가 꺼져 있다면 켜 주시고 대략 하루 정도는 기다려 주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.
배터리 성능 체크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이패드 분석 공유 바로 밑에 있는 분석 데이터를 눌러 들어갔을 때 Analytics 파일이 있으면 됩니다. 없으면 생성될 때까지 기다려 주셔야 하는데 그게 대략 하루 정도면 생기기 때문입니다.
Analytics 파일을 TXT 파일로 만들기
분석 데이터로 들어와서 Analytics 파일이 생겼으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.
![아이패드 분석 데이터에 있는 Analytics 파일들에 네모 친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3.webp)
Analytics 파일이 2개가 생겼습니다. 이미 이 설정이 켜져 있던 분들은 꽤 많은 양의 파일이 존재할 텐데 다 필요없고 최근 것으로 진행하면 됩니다.
![아이패드 analytics 파일을 파일로 저장하는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4.webp)
가장 최근 파일을 눌러서 들어오게 되면 정말 많은 글자들이 빽빽하게 적혀 있습니다.
뭔가 탈옥을 하는 것 같고 위험해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. 이 파일을 TXT 파일로 바꿔 저장하는 일만 할 것이기 때문이죠.
우측 상단에 보내기 버튼을 눌러서 파일에 저장을 선택해 줍니다.
![아이패드에 다운로드 폴더에 저장하는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5.webp)
본인이 찾기 쉬운 폴더에 저장을 해 주면 됩니다.
이 부분은 아주 간단합니다.
![저장한 analytics 파일의 이름 변경하는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6.webp)
그리고 아이패드의 파일 앱으로 접속해서 저장한 폴더로 들어가 줍니다.
아이패드 파일앱이 뭔지 모르시는 분들은 아이패드에서 앱 검색에서 파일을 입력하면 나오는 파란색 폴더 모양의 앱을 실행시키면 됩니다.
앞서 저장했던 analytics 파일을 터치하고 있으면 위와 같은 메뉴들이 뜨는데 이름 변경을 터치해 줍니다.
![아이패드로 이름 변경하면서 확장자 명을 txt로 변경하는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7.webp)
확장자 명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확장자 명을 선택해서 txt로 변경해 줍니다.
synced → txt로 바꿔 주면 됩니다.
![아이패드 파일 확장자 변경 시 나오는 메시지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8.webp)
그럼 이렇게 확인 메시지가 뜨게 되고 txt 사용을 눌러서 txt 파일로 바꿔 줍니다.
사이클 및 성능 확인하기
이제 저장한 파일 안에서 배터리 사이클과 성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배터리 사이클은 완전 방전과 완전 충전의 사이클을 상징하여 카운팅됩니다.
그렇기 때문에 0%에서 100%로 충전이 된 것을 기준으로 1회의 사이클로 카운트됩니다.
때문에 사이클이 100이면 총 충전한 양을 %로 나타내면 100사이클 x 100% = 10,000%가 됩니다.
50%에서 100%까지 완충하면 50%를 충전한 것이고 다시 50%에서 100%까지 충전했다면 총 100%를 충전했기 때문에 사이클이 1이 올라가게 된다는 의미입니다.
![파일 앱으로 analytics를 열어서 검색 기능을 통해서 cycle을 검색한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9.webp)
txt 파일로 바꾼 Analytics 파일을 눌러서 들어가 보면 이제 찾기 버튼으로 특정 문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.
우측 상단에서 돋보기 버튼을 눌러서 cycle을 검색해 보면 Cycle_Count라고 검색이 되고 옆에 숫자가 적혀 있습니다.
- cycle_count”:428″
바로 위 큰 따옴표 안에 있는 428이 428번의 충전 사이클을 돌았다는 의미입니다. 총 충전한 양이 42,800%로 0%에서 100%까지 총 428번 충전한 사이클과 같다는 의미입니다.
![아이패드 배터리 성능 확인하는 모습](https://hoximol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12/아이패드-배터리-성능-확인-10.webp)
이번에는 가장 중요한 배터리 성능인데 검색창에 percent를 입력해 주었습니다.
- MaximumCapacityPercent”:88″
위의 항목이 바로 배터리 성능 수치를 나타냅니다. 88% 수준임을 나타내 줍니다.
새로 구매한 아이패드의 경우에는 위의 배터리 효율이 100 혹은 그 이상이 나오게 되고 오래 쓰면 쓸수록 이 수치는 점점 낮아집니다.
이번 시간에는 아이패드 배터리 성능 확인 방법과 충전 사이클을 알아보았습니다. 이외에도 다양한 아이패드의 팁은 아래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함께 보면 좋은 팁들
아이패드 미니5와 애플펜슬 1세대 궁합 및 지금도 사용할 만한 3가지 이유(vs 아이패드 6세대 비교)